보도자료

여성을 성노예로 만든 일본은 사죄하라(가톨릭 평화 신문, 2018년 3월 11일)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 천주교 전국행동' 미사 봉헌 하고 '기억의 지킴이' 다짐


713379_1.0_titleImage_1.jpg
▲ 박현동 아빠스를 비롯한 사제와 수도자, 신자들이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이 자리한 곳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미사’를 봉헌하고 있다.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3월 1일.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천주교 전국행동’이 서울 종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배상을 거듭 촉구했다.

다시금 추위가 찾아온 이 날, 사제와 수도자, 평신도 200여 명은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중심으로 빼곡히 자리했다. 일제로부터 독립을 염원했던 민족의 바람 뒤에 또 다른 역사적 아픔으로 존재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기원하는 미사를 봉헌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일본 정부의 진심 어린 사과와 함께 생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해방된 삶을 위해 기도했다. 미사는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장 박현동 아빠스가 주례하고, 각 교구 정의평화위원회와 사회사목 담당 사제단이 공동 집전했다.

박 아빠스는 미사 강론에서 “1930년부터 1945년 일본 패망 때까지 일본군이 군 위안소를 제도적으로 설립했고, 점령지와 식민지 여성들을 참전 군인들의 성적 노예로 만든 것은 조직적인 범죄”라며 “이는 고귀한 인간성에 대한 가치를 부정하고, 여성을 도구화하는 있을 수 없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럼에도 “일본은 명백한 사실 앞에서도 강제 동원의 역사를 부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 피해 할머니 서른 분만 살아계신다. 일본 정부의 진정한 자복과 사과, 책임 있는 배상을 끊임없이 요구한다”며 “우리 모두 일본군 피해 할머니들의 뒤를 이은 기억의 지킴이, 희망의 지킴이가 되자”고 당부했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는 일본대사관 앞에서 27년째 열리고 있으며, 지난 3월 7일까지 1325차 집회가 열렸다.

글·사진=이정훈 기자 sjunder@cpbc.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7 [가톨릭 리빙] 가실성당 (평화신문, 2015년 7월 26일) procurator 2015.08.17 3176
106 주교회의 민화위·정평위 등 사드 관련 입장 발표 … 왜관서 생명평화미사(가톨릭신문, 2016년 7월 18일) procurator 2016.08.17 3163
105 문화인터뷰 「수도 영성의 기원」 「사막의 안토니우스」 펴낸 허성석 신부 (가톨릭 신문, 2015년 4월 26일) procurator 2015.04.23 3160
열람중 여성을 성노예로 만든 일본은 사죄하라(가톨릭 평화 신문, 2018년 3월 11일) procurator 2018.05.17 3159
103 [한국 가톨릭문화의 거장들] 건축가 알빈 신부 (하) (가톨릭신문, 2016년 9월 25일) procurator 2017.01.11 3150
102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이석철 수사, 100세 맞아 (평화신문, 2015년 1월 11일) procurator 2015.01.12 3135
101 성 베네딕도 수도회 아랍에 첫 진출(가톨릭 평화 신문, 2018년 3월 18일) procurator 2018.05.17 3092
100 【 보도 】 칠곡군, 종파·종교 초월한 '부처님오신날' 봉축법회 (2019년 5월 7일, 매일종교신문) procurator 2019.06.07 3076
99 공지영 “고통요? 알고보면 그게 고통이 아니더라고요” (경향신문, 2014년 12월 28일) procurator 2015.01.12 3049
98 세계 베네딕도회 총연합회 아빠스 총회·오딜리아 연합회 총회 다녀온 박현동 아빠스 (가톨릭신문, 2016년 10월 30일) procurator 2016.11.03 3045
97 100년전 독일신부가 벌꿀짜며 쓴 국내 첫 양봉교재 귀환(한겨레, 2018년 1월 29일) procurator 2018.02.02 3030
96 위안부 천주교전국행동, 3*1절 맞아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미사 봉헌헌(가톨릭 신문, 2018년 3월 11일) procurator 2018.05.17 3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