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기사

[베네딕도 문화영성센터] 승효상 “‘빈자의 미학’은 30년 지나도 계속…실수 없는 건축 하고파”, (서울신문, 2022-03-…

procurator 0 1,786 02.14 10:57
청담동 갤러리508에서 건축스케치전
“영혼 죽은 현대인 위한 공간 필요”
“공직 생활, 공공성 배운 기간”
“文 사저 설계 마무리…취향 반영”


최근 서울 종로구 동숭동 이로재 사무실에서 만난 승효상 대표. 왜 동숭동에 자리잡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조선 시대에 학문의 전당인 성균관이 있던 명륜동, 혜화동 일대는 가르침을 높이 여긴다는 뜻의 ‘숭교방’으로 불렸다. 동숭동은 그 동쪽에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라며 “계속 공부하고 익히는 자리로 안성맞춤이라고 봤다”고 답했다. 김명국 선임기자

▲ 최근 서울 종로구 동숭동 이로재 사무실에서 만난 승효상 대표. 왜 동숭동에 자리잡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조선 시대에 학문의 전당인 성균관이 있던 명륜동, 혜화동 일대는 가르침을 높이 여긴다는 뜻의 ‘숭교방’으로 불렸다. 동숭동은 그 동쪽에 있는 지역이라는 의미”라며 “계속 공부하고 익히는 자리로 안성맞춤이라고 봤다”고 답했다. 김명국 선임기자

“우리 선조는 일상에서 영성을 느끼며 살았습니다. 집안엔 사당이 있고 무덤도 가까이 있었죠. 죽음을 돌아보며 삶이 경건해질 수 있었는데, 이젠 그런 공간이 없어졌습니다.”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사무실에서 만난 승효상 이로재 건축사사무소 대표의 말이다.

승효상 대표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가 중 한명이다. 거장 김수근(1931~1986)의 문하에서 오랫동안 지냈고, 1989년 이로재를 설립해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했다. 2002년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이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에 선정됐고,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와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 등을 맡기도 했다. 특히 2010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 묘역을 설계·건축해 주목받았다.

오는 12일까지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리는 스케치전 ‘솔스케이프’(Soulscape)는 ‘건축가 승효상’의 정수를 엿볼 기회다. 스케치북과 트레이싱페이퍼 등을 통해 그의 건축 프로젝트 12개가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는지 살필 수 있다. 스케치북 원본을 그대로 가져다 놓은 건 아니고 복사 프린트한 뒤 약간의 붓터치로 색을 입혔다.
서울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린 승효상의 건축스케치전 ‘솔스케이프’에 전시된 작품 중 경북 왜관 베네딕토수도원 피정 센터 스케치. 갤러리508 제공

▲ 서울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린 승효상의 건축스케치전 ‘솔스케이프’에 전시된 작품 중 경북 왜관 베네딕토수도원 피정 센터 스케치. 갤러리508 제공

-전시명인 ‘솔스케이프’는 무슨 의미인가.

“한국어로 풀어보자면 ‘영성의 풍경’. 영성은 우리 삶과 떨어져 생각할 수 없는 건데도 현대인들은 마치 영혼이 없는 사람처럼 산다. 과거 선조들은 죽음을 늘 가까이 보고 살았는데, 이젠 그런 공간이 없어졌다. 굳이 성소나 묘역에 가지 않더라도 삶을 돌아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전시된 스케치 공간은 노 전 대통령 묘역과 경북 칠곡 왜관 베네딕토수도원 피정센터, 경기 화성 남양성모성지 순교자 기념묘역, 경기 광주 시안추모공원 시범묘역 등 죽음이나 종교 관련 시설이 많다. 하지만 찬찬히 살펴보면 단독주택, 커뮤니티센터, 복합문화시설까지 포함됐다. 일상의 공간에서도 경건함이 느껴진다.

승 대표는 “건축물은 자신을 직시하고 성찰할 수 있는 공간”이라며 “건축 속에서 개인이 빛나거나, 안전하다고 느끼거나, 귀한 존재라는 걸 깨달으면 힘을 얻고 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종로구 이로재 사무소에서 만난 건축가 승효상 대표. 김명국 선임기자

▲ 서울 종로구 이로재 사무소에서 만난 건축가 승효상 대표. 김명국 선임기자

-기독교라는 종교가 큰 영향을 미친 건가.

“어릴 때부터 종교의 영향을 받긴 했지만, 건축이 우리 삶을 지속시키는 중요한 도구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먹고 소비하는 일차원적 삶 외에 공동체를 형성하고 창조적인 일을 하는 사회적 공간이 필요하다.”

-사회적 공간이 무슨 의미인가.

“인간이 살다 보면 누구나 고독해지고 싶을 때, 울고 싶을 때, 성찰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때 갈 만한 곳. 고독해지기 위해 꼭 사찰이나 교회만 가야하는 건 아니지 않나. 지친 삶이 위로받지 못하기 때문에 더 거칠어진다. 분을 풀 데도 없고.”

-설계를 구상하는 과정이 궁금하다.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땅의 이야기와 사람들의 이야기다. 건축은 다른 작업과 달리 땅을 점거해야만 존재할 수 있는 시설이다. 땅은 과거의 역사와 관련이 깊다. 오래된 땅일수록 내게 말을 많이 걸어온다. 어떤 공간이 되고 싶다는 얘기를 한다.

두 번째로는 그 공간에 거주할 사람들의 말을 듣는다. 현재와 미래에 어떤 삶을 이루고 싶다는 얘기. 그게 땅의 이야기와 결합하면 과거로부터 현재, 미래까지 이어지는 설계가 된다.”
승효상 이로재 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최근 서울신문과 만나 “일상에서 영성의 진작을 꾀하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갤러리508 제공

▲ 승효상 이로재 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최근 서울신문과 만나 “일상에서 영성의 진작을 꾀하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갤러리508 제공

“호화로운 건축에서 허황되고 거짓스러운 삶이 만들어지기 십상이고, 초라한 건축에서 올곧은 심성이 길러지기가 더 쉽다”는 ‘빈자의 미학’은 승 대표의 오랜 건축 철학이다.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이 철학이 유효하냐는 질문에 그는 “당연하다”고 답했다.

-그간 사회적으로, 개인적으로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나.

“처음 얘기할 때만 해도 내용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지난 30년간 내 궤적은 빈자의 미학을 밝히고 확장하는 과정이었다. 내게는 진리고, 그 안에서 놀 때 자유스럽다. 영성의 풍경도 결국 거기서 뻗어 나온 가지다.”

승 대표는 서울시 건축정책위원회 위원에 이어 2018년부터 3년간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등 10여년간 공직 생활도 했다. 도시의 건축물을 ‘개인의 것’에 머무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서울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린 승효상의 건축스케치전 ‘솔스케이프’에 전시된 작품 중 경북 군위 사유원 ‘사담’의 스케치. 갤러리508 제공

▲ 서울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린 승효상의 건축스케치전 ‘솔스케이프’에 전시된 작품 중 경북 군위 사유원 ‘사담’의 스케치. 갤러리508 제공

-공직 생활을 마무리한 소감이 어떤지.

“살면서 그렇게 많은 공무원을 만날 거라곤 생각도 못했다. 나오면서 ‘다시는 부르지 말라’고 했다. (웃음) 할 수 있는 만큼 했고, 의미는 컸다. 건축이 공공성을 유지해야 모든 환경의 풍경이 좋아지지 않겠나. 소나기가 오면 남의 집이라도 들어가서 비를 피할 수 있고, 옆집이 낮으면 자기 집도 적당히 낮게 짓는 게 공공성이라고 생각한다. 거기 관해 많이 배울 수 있는 기간이었다.”

‘인간의 완성은 밀실이 아니라 공공의 광장에 자신을 투여함으로써 이뤄지는 것’이라는 정치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말에 꽂혔다고 한다.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혼자 작업해선 안되고, 몸을 던지며 부닥치며 이뤄내야 한다는 것.

‘배운 기간’이라고 표현했지만, 실제 이룬 게 더 많다. 짬짜미가 이뤄지던 건축 현상공모 제도를 개선해 공정하게 심사하도록 했고, 공공건축 발주 과정을 개선한 특별법 제정에도 앞장섰다. 최근엔 경남고 동기이자 50년지기 친구인 문재인 대통령의 사저를 설계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서울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린 승효상의 건축스케치전 ‘솔스케이프’에 전시된 작품 중 경북 군위 사유원 ‘명정’의 스케치. 갤러리508 제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서울 강남구 갤러리508에서 열린 승효상의 건축스케치전 ‘솔스케이프’에 전시된 작품 중 경북 군위 사유원 ‘명정’의 스케치. 갤러리508 제공

-문재인 대통령 사저 건축에서 신경 쓴 부분은.

“임기 마친 5월이면 입주할 수 있게 진행 중이다. 모든 설계를 나한테 맡겼다. 자연 속에서 함께 어우러지는 것,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취향을 반영했다. 궁금하면 나중에 직접 방문해보시라.”

칠순이 넘어서도 여전히 활발히 활동하는 그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걸작을 만드는 건축가 중엔 70대 이상이 많다. 나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바라는 미래의 모습이 있다면.

“건축가는 타인의 삶의 형태를 조직하는 사람이다. 젊은 작가도 물론 좋은 건축을 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 만큼 오래 살수록 연륜이 쌓인다. 일한 지 수십년이 됐지만 내가 잘못 그은 선 하나가 누군가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걸 생각하면 여전히 두렵다. 앞으로도 끊임없이 공부하고, 고민하고, 실수 없는 건축을 하고 싶다.”
김정화 기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9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의정부교구 ‘월간성서’ "전국 성경학자들의 말씀 강의 ‘유튜브’에 있네!” procurator 02.27 2037
128 겸재정선화첩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인재 영입, 정선의 <초당춘수도> (중도일보, 2024-02-09) procurator 02.27 2970
127 수도원사도직 [분도노인마을] 칠곡교육지원청, 사회복지시설 “분도 노인마을” 방문 (매일일보, 2024-02-06) procurator 02.27 2610
126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출판 홍보] 소소한 일상에 빛을 더하는 토마스 머튼의 영성 (가톨릭평화신문 2024-01-24) procurator 02.27 2026
125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수도원 주변이야기] 구상 시인, 칠곡 낙동강 변으로 다시 돌아왔다. (대구일보, 2024-01-15) procurator 02.27 1746
124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수도원 주변이야기] 칠곡군에 ‘구상-이중섭로’ 생긴다. (대구일보, 2024-01-15) procurator 02.27 1898
123 한국 베네딕도회 역사 그리스도교 수도생활의 시조, 성 안토니오 아빠스 (가톨릭신문, 2024-01-14 [제3376호, 12면]) procurator 02.27 1986
122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출판 홍보] 박재찬 안셀모 본원장 신부, 「주님, 당신 품 안에서」 출판 (가톨릭신문, 2024-01-14 [제3376호, 15면]) procurator 02.27 1909
121 겸재정선화첩 [이인숙의 옛그림 예찬] <232>겸재 정선의 새해맞이 그림 (매일일보, 2024-01-07) procurator 02.27 2740
120 수도원사도직 [순심교육재단] 가톨릭 전인 교육, 대학 입시에 통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4-01-03) procurator 02.27 2969
119 마리누스 수사와 뉴튼수도원 복음과 선교 열정으로 시노드 교회를 향하여, (가톨릭평화신문, 2023-12-27) procurator 02.27 1918
118 한국 베네딕도회 역사 [덕원수도원] 죠션어셩가 올해로 백 살...현존 최초 한국어 성가집 (가톨릭평화신문, 2023-12-27) procurator 02.27 1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