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기사

【기행】 거지작가 최민식에게 8년여 동안 월급 준 사람 (2019년 11월 28일, 오마이뉴스)

procurator 0 2,013 2020.04.28 11:33

외관 IC에서 내려 5분쯤 달렸을까? 왕복 6차선 대로변을 달리고 있는데 갑자기 성 베네딕토 수도원의 붉은 벽돌 담벼락이 나타났다. 도심과는 동떨어진 한적한 곳에 있으려니 생각했던 예상과는 달리, 자동차들이 내달리는 도심 한복판에서 만나는 수도원은 좀 당황스러웠다. 그러나 정문을 통과해 주차장에 차를 대고 내려서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바깥과는 전혀 다른, 내가 기대하고 왔던 바로 그 풍경이 펼쳐졌다.

  
고풍스런 분위기 자아내는 경북 왜관 성베네딕토 수도원 전경
▲ 고풍스런 분위기 자아내는 경북 왜관 성베네딕토 수도원 전경 ⓒ 추미전

수도원 안은 담벼락 너머 자동차 소음 가득한 세상과는 다른 공간임을 증명이라도 하듯 새들의 지저귐으로 충만했다. 빠알간 까치밥을 주렁주렁 달고 있는 감나무 주변으로 아기 주먹 크기의 작은 새들이 모여 지저귀는 따뜻한 풍경에 저절로 미소가 지어졌다.

   
마지막 잎새마저 떨구고 앙상한 줄기를 드러낸 나무들은 마치 굵고 선명한 터치로 그린 수묵화 같았다. 보통은 나무의 화려한 잎과 열매만을 보고 그 나무를 평가하지만 진짜 중요한 것은 바로 저 올곧은 나무의 줄기와 뿌리가 아닐는지, 줄기와 뿌리가 튼튼하지 못하면 다음해 봄을 기약할 수 없으니... 일체의 장식 없이 검은 색 줄기와 가지만으로 겨울 날 채비를 하는 나무들이 검은 사제복을 입은 수도자들을 닮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수도원안에는 나무들이 많다. 까치밥이 주렁주렁 달린 감나무
▲ 수도원안에는 나무들이 많다. 까치밥이 주렁주렁 달린 감나무 ⓒ 추미전

수묵화 같은 나무들 사이로 보이는 붉은 벽돌 성당은 묘한 대조를 이루며 한껏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낸다. 입구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붉은 벽돌 성당은 1928년 세워진 왜관 최초의 성당이다.

  
일제강점기 프랑스에서 온 선교사들이 붉은 벽돌을 쌓아올려 지었다는 성당은 용케도 왜관 지역에서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유독 치열했던 한국 전쟁의 포연을 견디고 살아남았다. 그렇지만 현재 이 성당은 예배당으로 사용되지는 않고 역사적인 건축물로 보존돼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본당 건축물 역시 빨간 벽돌로 지어졌다. 성당 왼쪽에 있는 작은 벽돌 건물 역시 1935년에 건축돼 왜관 최초의 유치원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세월의 무게가 느껴지는 크고 작은 붉은 벽돌 건축물들이 어우러진 수도원 입구는 마치 중세 유럽의 어느 도시로 들어서는 느낌을 자아낸다.

달력이 한 장밖에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어디론가 떠나고 싶었다. 너무 많은 관계와 너무 많은 욕심 속에, 너무 많은 말들의 소용돌이 속에 한 해를 보냈다는 생각에 조용히 한해를 돌아보고 싶었다. 익숙한 것들로부터 벗어나 거울을 보듯 스스로를 비춰보는 시간을 가지고 싶었다.

책상과 딱딱한 의자, 작은 침대가 전부인 방

직접 와보니 그럴 때 찾아오기에 성 베네딕토 수도원은 더없이 좋은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성 베네딕토 수도원 '피정의 집'은 가톨릭 교도가 아닌 사람도 누구나 신청해서 들어올 수 있다. '벗어나 고요한 곳에 머무른다'는 뜻의 피정(避靜)처럼 조용히 머물 곳을 찾아 온 나는 성당 사무실을 찾아 2박 3일 동안 머물 피정의 집 열쇠를 받았다.

피정의 집 입구에 붙어 있는 '침묵'이라는 종이가 반가웠다. 어차피 혼자 왔으니 말을 나눌 상대가 없기도 했지만 꼭 필요한 몇 마디 외에는 되도록 말을 안 할 수 있는 조용한 곳으로 오고 싶었던 참이다. 방은 겨우 책 한 권 펼칠 정도의 작은 나무 책상과 딱딱한 의자, 작은 침대가 전부였다. 그 소박하고 단출함이 맘에 들었다. 일단 방 배정만 받고 나면 수도원에서는 아무런 제재를 하지 않는다.

성 베네딕토 왜관 수도원 피정의 집의 1인실방
▲ 성 베네딕토 왜관 수도원 피정의 집의 1인실방 ⓒ 추미전

미사는 매일 아침 6시 반, 기도회는 아침, 점심, 저녁 3차례 열리는데 참석여부는 개인의 자유다. 조용히 방에 머물며 무엇을 하든 상관하지 않는다. 식사시간만 맞추어서 식당으로 가면 세끼 식사가 제공된다. 그것도 수도원 수사들이 직접 농사지은 윤기 나고 밥맛 좋은 쌀에 수사들이 직접 독일에 가서 배워 와 만든다는 독일식 소시지, 직접 기른 채소로 지은 간소하지만 풍성한 식사다.

 
수도원의 하루는 종소리로 시작해 종소리로 끝이 난다. 새벽을 깨우는 5시 종소리는 빠르고 경쾌한 리듬, 끝기도 시간인 저녁 8시 종소리는 천천히, 마음을 다독이듯 낮게 울린다. 나는 가톨릭 교도는 아니지만, 아침, 저녁 미사를 꼬박꼬박 참석했다. 본당에는 독일에서 제작된 거대한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돼 있다.

파이프 숫자가 2747개에 달하고, 긴 파이프의 길이가 5미터에 달해 성당 벽 한 면을 다 채우고 있는 웅장한 파이프 오르간은 그 깊은 울림만으로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듯 하다. 낮고 천천히 울리는 파이프 오르간 소리에 맞춰 수 십 명의 수사들이 부르는 미사곡은 천상의 소리처럼 신비감을 자아낸다.
  
성 베네딕토 수도회의 모토는 일하고 기도하라, 때문에 베네딕토회 신부들은 어디에 있든 몸을 움직여 직접 일을 하고 그 수입으로 독자적으로 수도원을 운영한다. 왜관 수도원에는 70여 명의 수사들이 거주하며 수도생활을 하는데, 목공소를 비롯해 금속 공예실, 양초 공예실, 가구제작소까지 다양한 작업장이 있다. 사실 '일하고 기도하는' 이 두 가지 삶의 자세만 제대로 갖춘다면 누구나 가장 인간답게, 잘 살 수 있는 게 아닐까?
 
감당할 수 있는 일들을 성실하게 감당하고, 감당할 수 없는 일들 앞에서 겸손히 기도하는 것 외에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그런 의미에서 전 세계 곳곳에 있는 성 베네딕토 수도원들이 공통적으로 내세우는 '일하고 기도하라'는 모토는 들을 때마다 가슴깊이 와 닿는다. 그렇게 분류하자면 내게 수도원의 2박 3일은 '기도하는 시간'인 셈, 나머지 일은 되도록 하지 않기로 했다.

수도원에서 제공하는 식사를 꼬박꼬박 챙겨 먹었고, 가끔 책을 읽었으며 틈 날 때마다 낙엽이 수북히 쌓인 수도원 길을 혼자 산책 했다. 물기 하나 없이 마른 낙엽이 발밑에서 바스락 바스락 부서지는 소리를 들으며 조용히 산책하는 것은 참 오랫만이었다.


수도원 안의  산책길에 쌓인 낙엽들
▲ 수도원 안의 산책길에 쌓인 낙엽들 ⓒ 추미전


 간혹 필요한 게 있어 수도원 정문을 나서 도심 편의점을 갔다가 다시 수도원으로 들어올 때면 특히 기분이 좋았다. 마치 내 집을 들어가기라도 하듯, 태연하게, 자연스럽게 수도원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이 마치 내가 수도자라도 된 듯 한 기분이었다.

 
70여 명의 수사들이 생활하는 수도원은 꽤 넓었다. 성당 뒤쪽으로는 소나무 숲이며 농사짓는 밭들이 있어 시골길을 산책하듯 걸을 수 있었다. 작업장들은 대부분 문이 닫혀 함부로 들어가기가 머뭇거려졌는데, 분도출판사 팻말을 보자 꼭 들어가 보고 싶었다.

사진가 최민식과 분도출판사
 
막상 들어서자 한쪽 방에서는 인쇄기가 분주히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고, 수사님들이 바삐 오고가는 모습은 보였지만 외지인들에게 별달리 신경을 쓰지 않는 듯 했다. 다행히 손님맞이방이라는 팻말이 있어 들어갔더니 그동안 분도출판사가 펴낸 수백 권의 책들이 잘 정돈돼 꽂혀 있어 반가웠다. 내가 베네딕토회 왜관수도원을 처음 알게 된 것은 바로 이 분도출판사 때문이다.
 
사진계의 '렘브란트', '빛의 사진작가' 로 불리며 세계적인 사진작가의 명성을 얻었던 최민식 다큐멘터리를 제작할 때 최민식 선생은 '분도출판사가 없었다면 사진작가 최민식은 아마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평생 '인간'을 테마로 사진을 찍은 최민식의 렌즈는 항상 당대의 가장 가난하고 소외 받는 사람들을 향해 있었다.
 

평생 가난한 이들을 렌즈에 담았는 최민식의 작품
▲ 평생 가난한 이들을 렌즈에 담았는 최민식의 작품 ⓒ 추미전

 1967년 영국 사진연감에 사진이 실린 것을 비롯해 세계 20여 개국에 사진이 입상할 정도로 인정을 받았던 최민식, 그러나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새마을운동을 한창 벌이던 유신 정부에게 최민식은 '눈엣 가시'였다.


더 이상 가난한 사람을 찍지 않으면 사진작가로서 모든 혜택을 주겠다는 제안을 했지만 최민식은 그 제안을 거절하고 계속 가난한 이들을 찍는다. '거지작가'라는 별칭까지 얻게 된 최민식은 주요 감시대상이 됐고 정부는 그의 활동 반경을 전부 막아버린다. 필름 살 돈은 물론이고 살림을 꾸릴 수 없을 정도로 그의 모든 활동은 다 막혀버린다.
 
그런 최민식을 찾아와 계속 사진을 찍을 것을 권한 사람이 바로 왜관 성베네딕토 수도원 분도출판사 소속 임세바스찬 신부였다. 당시 분도 출판사 사장이었던 독일인 임세바스천 신부는 최민식에게 월급쟁이들이 받던 한 달 월급 이상의 돈을 8여 년 동안이나 지원하면서 최민식이 사진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민식은 미안한 마음에 열심히 사진을 찍고 그 중에 좋은 사진들을 매달 들고 가 임세바스천 신부에게 보여준다. 바로 그 사진들이 분도출판사에서 최민식의 인간 시리즈 사진집으로 나온다. 최민식이 생전에 펴낸 인간시리즈 14집 가운데 유신시대에 나온 4,5,6,7,8집은 전부 분도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분도출판사에 펴낸 최민식 <인간> 4집,당시 유신정부로 부터 판매금지 당했다
▲ 분도출판사에 펴낸 최민식 <인간> 4집,당시 유신정부로 부터 판매금지 당했다 ⓒ 추미전
 

 그 중 4집과 5집은 출판되자마자 판매금지까지 당했지만 임세바스천 신부는 굽히지 않았다. 4집이 출판됐을 때 분도출판사로 걸려온 전화를 임세바스천 신부가 직접 받은 에피소드는 유명하다.

 
" 아, 여기 중앙정보분데...이번에 나온 최민식 사진집 있죠?
그게 사진이 너무 어둡던데... "

한국말을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더 잘했고 유머감각이 뛰어났던 임세바스천 신부는 그 말을 다 알아듣고도 외국인이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 척 공손하게 말했다고 한다.
 
"아, 그렇지요. 좀 어둡게 나왔습니다.
안 그래도 다시 인쇄를 할 참이었습니다. "

푸른 눈의 신부 임세바스천의 남다른 안목과 두둑한 배짱이 없었다면 우리는 사진작가 최민식이 담아낸 리얼리티 사진의 걸작들을 만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임 세바스찬 신부는 그 후 20여년 간 분도출판사 사장으로 있으면서 당시 최고의 문제작이었던 <해방신학>을 비롯해 400여 권의 책을 펴낸다.
  
지금은 한없이 고요하고 평화로워 보이는 성 베네딕토 수도원, 그러나 1909년 우리나라에 첫 발을 디딘 이래 굴곡 많은 우리나라 현대사와 함께 걸어온 베네딕토 수도회의 지난 100년은 결코 순탄하지 않았다. 마치 지금 수도원 마당에 굳건하게 서서 겨울 날 채비를 하고 있는 겨울나무들처럼 굳건한 믿음과 신념으로 모진 풍파와 시련을 참고 견딘 덕에 비로소 지금의 평화를 누리게 되었다.

베네딕토 수도회가 걸어온 지난 100년의 역사를 알게 되면, 피정의 집에서 보내는 하룻밤의 평화와 안식이 더 소중하게 다가온다.


 

왜관 성베네딕토수도원 전경
▲ 왜관 성베네딕토수도원 전경 ⓒ 추미전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9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의정부교구 ‘월간성서’ "전국 성경학자들의 말씀 강의 ‘유튜브’에 있네!” procurator 02.27 2037
128 겸재정선화첩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인재 영입, 정선의 <초당춘수도> (중도일보, 2024-02-09) procurator 02.27 2971
127 수도원사도직 [분도노인마을] 칠곡교육지원청, 사회복지시설 “분도 노인마을” 방문 (매일일보, 2024-02-06) procurator 02.27 2610
126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출판 홍보] 소소한 일상에 빛을 더하는 토마스 머튼의 영성 (가톨릭평화신문 2024-01-24) procurator 02.27 2026
125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수도원 주변이야기] 구상 시인, 칠곡 낙동강 변으로 다시 돌아왔다. (대구일보, 2024-01-15) procurator 02.27 1747
124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수도원 주변이야기] 칠곡군에 ‘구상-이중섭로’ 생긴다. (대구일보, 2024-01-15) procurator 02.27 1898
123 한국 베네딕도회 역사 그리스도교 수도생활의 시조, 성 안토니오 아빠스 (가톨릭신문, 2024-01-14 [제3376호, 12면]) procurator 02.27 1986
122 신앙상식과 읽을거리 [출판 홍보] 박재찬 안셀모 본원장 신부, 「주님, 당신 품 안에서」 출판 (가톨릭신문, 2024-01-14 [제3376호, 15면]) procurator 02.27 1910
121 겸재정선화첩 [이인숙의 옛그림 예찬] <232>겸재 정선의 새해맞이 그림 (매일일보, 2024-01-07) procurator 02.27 2740
120 수도원사도직 [순심교육재단] 가톨릭 전인 교육, 대학 입시에 통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4-01-03) procurator 02.27 2969
119 마리누스 수사와 뉴튼수도원 복음과 선교 열정으로 시노드 교회를 향하여, (가톨릭평화신문, 2023-12-27) procurator 02.27 1918
118 한국 베네딕도회 역사 [덕원수도원] 죠션어셩가 올해로 백 살...현존 최초 한국어 성가집 (가톨릭평화신문, 2023-12-27) procurator 02.27 1883